포정(苞丁)은 문혜군(文惠君)의 요리사였다.
하루는 포정이 문혜군을 위해 소를 잡았다.
그가 소에 손을 대고 어깨를 기울이고, 발로 짓누르고, 무릎을 구부려 칼을 움직이는 동작이 모두 음률에
맞았다.
문혜군은 그 모습을 보고 감탄하여 물었다.
“어떻게 하면 기술이 이런 경지에 이를 수가 있느냐?”
포정은 칼을 놓고 다음과 같이 말했다.
“제가 중요하게 여기는 것은 도(道)입니다.
도는 단순한 기술보다 우월합니다.
제가 처음 소를 잡을 때는 소만 보여 손을 댈 수 없었으나, 3년이 지나자 어느새 소의 온 모습은 눈에 띄지
않게 되었습니다.
요즘 저는 정신으로 소를 대하지 눈으로 보지는 않습니다.
눈의 작용이 멎으니 정신의 자연스런 작용만 남습니다.
그러면 천리(天理)를 따라 쇠가죽과 고기, 살과 뼈 사이의 커다란 틈새와 빈 곳에 칼을 놀리고 움직여
소의 몸이 생긴 그대로 따라갑니다.
그 기술의 미묘함은 아직 한 번도 칼질을 실수하여 살이나 뼈를 다친 적이 없습니다.
솜씨 좋은 백정은 1년 만에 칼을 바꾸는 것은 살을 가르기 때문입니다.
평범한 보통 백정은 달마다 칼을 바꾸는데, 이는 무리하게 뼈를 가르기 때문입니다.
그렇지만 제 칼은 19년이나 되어 수천 마리의 소를 잡았지만 칼날은 방금 숫돌에 간 것과 같습니다.
저 뼈마디에는 틈새가 있고 칼날에는 두께가 없습니다. 두께 없는 것을 틈새에 넣으니, 널찍하여 칼날을
움직이는 데도 여유가 있습니다.
그러니까 19년이 되었어도 칼날이 방금 숫돌에 간 것과 같습니다.
하지만 근육과 뼈가 엉긴 곳에 이를 때마다 저는 그 일의 어려움을 알고 두려워하여 경계하며 천천히 손을
움직여서 칼의 움직임을 아주 미묘하게 합니다.
살이 뼈에서 털썩하고 떨어지는 소리가 마치 흙덩이가 땅에 떨어지는 것 같습니다.
칼을 든 채 일어나서 둘레를 살펴보며 머뭇거리다가 흐뭇해져 칼을 씻어 챙겨 넣습니다.”
포정의 말을 들은 문혜군이 말했다.
“너로 인해 양생(養生)의 도를 터득하였다.”
어느 분야에 거의 달인의 경지에 이르러 신기에 가까운 솜씨를 자랑할 때, 이를 일러 ‘포정해우’라 한다.
또 포정이 문혜군을 위해서 소를 잡을 때 뼈와 살이 다치지 않도록 긍경을 잘 찾아 살을 잘 발라냈다는
데 서 연유해, 사물의 급소를 잘 찌르고 요점을 잘 찾아내는 것을 ‘긍경에 닿다’라고 표현한다.
「장자(莊子)」「양생주편(養生主篇)」에 나오는 고사이다.
'경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태평양밑의 대 터널 피사로 / pinix (0) | 2019.05.31 |
---|---|
육식을 함으로써 업(과보)을 받게되는 유효기간은? (0) | 2019.03.01 |
[스크랩] 아담과 이브의 생애 (외경) (0) | 2017.11.10 |
[스크랩] 파드마 삼바바의 수행의 핵심 (0) | 2017.11.10 |
[스크랩] 선정의 종류-사무색정(四無色定, Catur aruppa samapati) (0) | 2013.12.12 |